응답성

2. 응답성

  • 클라우드서비스의 응답성(Responsiveness)은 어떠한 이벤트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.
    •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은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에 대해 서비스 또는 시스템이 최적의 성능으로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업무를 처리함을 말한다.
  •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자는 응답성을 측정하여 수준과 목표를 제시함으로써, 서비스 이용자에게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업무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.

2.1 응답시간

  • 응답시간은 이용자가 조회 또는 기능 실행을 요청한 시점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.
  • 응답시간은 객관적인 범위 내에서 측정되어야 하며, 응답시간 성능의 기반이 되는 시스템, 서비스 등의 사양이 필수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. 또한, 응답시간 내 모든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함이 전제되어야 한다.
  • 응답시간은 다음과 같은 점검 항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품질·성능 기준 점검요소 점검항목 점검방법 참고 페이지
관리체계
점검
품질성능
점검
응답성 응답시간 응답시간 유지능력 응답시간 보장을 위한 관리체계 및 운영정책 39
응답시간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간 76
애플리케이션 배포 시간 82
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응답시간 84
동시접속자 동시접속자 및 처리시간 86

2.1.1 응답시간 유지능력 점검

  • 응답시간 유지능력은 시스템에 서비스 조회를 요구한 직후부터 응답이 시작되는 때까지 경과한 시 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, 이를 보장하기 위한 관리 정책ㆍ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.
  •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성능을 유지하여야 한다. 이를 위해, 필요한 정책, 인적ㆍ물적 자원 등을 관리할 수 있다.
점검 항목 확인사항
응답시간 수준 제시
  • 서비스의 응답시간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 지원범위, 네트워크 확보현황, 시스템 구성, 예방 활동 등을 포함한 응답시간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가?
조직 및 책임설 정책
  • 이용자에게 제시한 응답시간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조직 및 인력을 배치·수행되는가?
자원확보 및 유지ㆍ관리
  • 클라우드 시스템의 주기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유지하고 있는가?
응답시간 분석 예측,
개선 프로세스
  •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보장/개선하기 위해 이를 예측/분석/개선하고 있는가?
  •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보장/개선하기 위해 이에 필요한 기술 자료를 보유/관리하고 있는가?

2.1.2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간 측정

  • 클라우드서비스 프로비저닝은 이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미리 정의된 정책 및 프로세스에 따라 자동으로 혹은 서비스 제공자의 최소한의 개입으로 자원을 할당, 배치,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,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부터 요청한 서비스가 배포되어 이용 가능한 시점까지 측정한다.
  • 이용자가 필요할 때 요청에 따른 셀프 서비스(On-demand Self-service)는 클라우드서비스의 주요 특징이며,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요청한 서비스를 자동으로 설치, 배포하여 제공하는지 확인한다.
점검 항목 확인사항
서비스 프로비저닝 시간
  • 서비스 대상에 대한 프로비저닝 시간은 얼마나 소요되는가?
  • 서비스 요청에 따른 프로비저닝 시간이 목표수준을 만족하는가?
  • 이용자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서비스가 배포되어 사용 가능한가?

2.1.3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간 측정

  • 이용자가 플랫폼 서비스(PaaS)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, 배포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.
  •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간을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배포 요청에 따른 처리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.
점검 항목 확인사항
애플리케이션 배포 시간
  • 플랫폼 서비스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간은 얼마나 소요되는가?
  • 애플리케이션 배포시간이 목표수준을 만족하는가?
  • 애플리케이션 배포후 애플리케이션의 정상 이용이 가능한가?

2.1.4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응답시간 측정

  • 서비스(기능) 응답시간은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능 실행 등의 작업을 요청하여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.
  •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 요청에 대한 처리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응답에 대한 타임아웃으로 처리되어 서비스 성능 및 가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점검 항목 확인사항
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응답시간
  • 측정 대상 서비스(기능)를 요청한 시점부터 결과를 받기까지 얼마나 소요되는가?
  • 기능 실행 시간이 목표수준을 만족하는가?

2.1.5 동시접속자 및 처리시간 측정

  • 동시접속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동시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 이용자를 의미하며, 클라우드서비스는 일시적으로 이용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.
  • 동시접속자 수 증가로 인한 부하는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타임아웃을 유발하여 서비스 가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운영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동시접속자 수와 목표수준의 동시접속 응답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지 점검이 필요하다.
점검 항목 확인사항
동시접속자 및 처리시간
  • 동시접속이 가능한 서비스 이용자수는 얼마인가?
  • 동시 접속자 수가 목표 수준을 만족하는가?
  • 동시 접속 처리시간이 목표 수준을 만족하는가?
  • 동시 접속 시 TPS(초당 트랜잭션 수)는 적장한가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