품질·성능 기준 | 점검항목 | 주요 내용 | 점검방법 | 참고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관리체계 | 품질 성능 |
|||||
응답성 | 응답 시간 | 응답시간 유지능력 | 응답시간 보장을 위한 관리체계 및 운영정책 | ● | 1.1 | |
응답시간 측정 | 응답시간 확인 | ● | 1.2 |
유형 | 관리체계 검증 | 품질·성능 시험 | ||
---|---|---|---|---|
적용 대상 서비스 | IaaS | PaaS | SaaS |
점검 항목 | 세부 점검항목 | 설명 |
---|---|---|
응답시간 유지능력 |
(1) 응답시간 수준제시 |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의 응답시간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 지원범위, 네트워크 확보현황, 시스템 구성, 예방 활동 등을 포함한 응답시간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지 확인한다. |
(2) 조직 및 책임 설정 |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게 제시한 응답시간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조직 및 인력을 배치·수행되는지 확인한다. | |
(3) 자원확보 및 유지·관리 |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우드 시스템의 주기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한다. | |
(4) 응답시간 분석 예측, 개선 프로세스 |
클라우드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보장/개선하기 위해 이를 예측/분석/개선하고, 필요한 기술 자료를 보유/관리하는지 확인한다. |
유형 | 관리체계 검증 | 품질·성능 시험 | ||
---|---|---|---|---|
적용 대상 서비스 | IaaS | PaaS | SaaS |
점검 항목 | 세부 점검항목 | 설명 |
---|---|---|
응답시간 측정 |
(1) 측정 절차 | 응답시간 측정을 위한 절차를 확인한다. |
(2) 측정 대상 및 구간 | 응답시간 측정 대상과 구간을 확인한다. | |
(3) 측정 방법 및 도구 | 응답시간 측정 방법을 확인한다. | |
(4) 측정 수행 및 결과 확인 | 응답시간 측정절차, 방법 등 사전 설정에 따라 응답시간을 측정하고, 응답시간 측정 결과를 확인한다. |
단계 | 주요 내용 |
---|---|
요구사항 분석 | - 측정 대상 서비스 혹은 시스템 선정 - 측정 구간 결정 |
계획 수립 | - 측정 방법 및 측정도구 결정 |
측정환경 준비 | - 측정을 위한 서비스 환경 준비(필요시, 시험 환경 구축 필요) - 측정 도구 설치 및 정상 동작 확인 |
측정 수행 및 결과 분석 | - 측정을 시작하여 예정된 종료시점까지 지속 - 측정 데이터를 취합하여 결과 분석 |
응답시간 측정 결과 확인 | - 측정된 응답시간의 결과 확인 |
서비스 | 측정 대상 |
---|---|
IaaS | - 가상머신 인스턴스 서비스 - IaaS 서비스 운영지원 웹페이지 |
PaaS | - 서비스 플랫폼 - PaaS 서비스 운영지원 웹페이지 |
SaaS | -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- SaaS 서비스 운영지원 웹페이지 |
도구 | 주요 내용 |
---|---|
Apache JMeter | - Apache 재단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도구이며, WEB, FTP, SOAP 등 여러 종류의 서버 및 프로토콜에 대해 응답시간을 측정 |
HPE LoadRunner | - HPE에서 배포하는 도구이며, WEB, FTP, SOAP 뿐만 아니라, SAP, Oracle ERP 등 사설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시간을 측정 |